본문 바로가기
Tips

아니에요, 아니예요 맞는 표현은? 헷갈리는 맞춤법

by 소중하루 2025. 4. 19.
반응형

아니에요, 아니예요 맞는 표현은? 헷갈리는 맞춤법
아니에요, 아니예요 맞는 표현은? 헷갈리는 맞춤법

 

 

"아니에요" VS "아니예요", 뭐가 맞는 말일까?

 

"그거 아니에요!" 혹은 "그거 아니예요!"
문장에서 자주 쓰이지만, 쓸 때마다 헷갈리는 표현입니다.

한국어 맞춤법은 알고 보면 꽤 논리적이지만, 실제로 자주 틀리는 표현들도 많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게 바로 오늘의 주제인 "아니에요"와 "아니예요"입니다. 두 표현 중 어떤 것이 맞는 말일까요? 그리고 왜 그렇게 써야 할까요?

이 글에서는 이 표현의 정확한 표기법과 함께 비슷하게 헷갈리는 표현들도 함께 정리해 드립니다. 올바른 한국어 사용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아니에요”가 맞는 표현입니다

“아니에요”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아니에요”는 “아니다”라는 동사의 활용형입니다.

예문으로 확인해볼까요?

  • “이거 네가 한 거 아니에요?”
  • “저 사람은 우리 팀이 아니에요.”

여기서 "아니에요"는 "아니다" + "이에요"의 결합 형태입니다.
즉, 받침이 없는 체언이나 용언 뒤에 ‘-이에요’가 붙는 경우, "아니에요"처럼 써야 합니다.


왜 “아니예요”는 틀릴까?

“아니예요”라고 쓰는 사람도 많습니다.
말로 할 땐 자연스러워 보이지만, 문법적으로는 틀린 표현입니다.

‘예요’는 언제 쓰는 걸까?

“예요”는 받침 없는 명사 뒤에 붙는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 바나나예요
  • 사이예요

하지만 “아니다”는 동사이기 때문에
‘예요’가 아닌 ‘이에요’를 붙여야 올바른 활용입니다.


자주 헷갈리는 비슷한 표현들 정리

1. 맞아요 VS 맞예요

  • 정답: 맞아요
  • 이유: “맞다”는 동사 → “맞아요”가 맞는 표현

2. 돼요 VS 되요

  • 정답: 돼요
  • 이유: “되다”의 활용형에서 ‘되어요’가 줄어든 형태 → ‘돼요’가 맞음

3. 이에요 VS 예요

  • 정답은 둘 다 맞지만, 사용 위치에 따라 달라짐
    • 받침 O → 이에요 (예: 책이에요)
    • 받침 X → 예요 (예: 사과예요)

말은 편해도, 글은 정확하게

“아니에요”와 “아니예요”의 차이, 이제 확실히 이해하셨나요?
정답은 바로 “아니에요”입니다.

말할 때는 두 표현이 비슷하게 들릴 수 있지만,
글을 쓸 때는 문법적으로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부터는 이메일, 보고서, SNS 글에서도
헷갈리지 말고 “아니에요”로 써보세요.
작은 맞춤법 하나가 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아니에요, 아니예요 맞는 표현 자주 묻는 질문 (Q&A)

Q. “아니에요”가 항상 맞는 건가요?

네, “아니에요”는 ‘아니다’의 활용형으로 항상 맞는 표현입니다.

Q. “아니예요”를 쓰면 틀린 건가요?

문법적으로는 틀린 표현이지만, 구어체에서는 종종 사용됩니다. 하지만 글쓰기에서는 피해야 합니다.

Q. “예요”와 “이에요” 구분하는 방법은?

간단히 말해, 받침이 있으면 “이에요”, 없으면 “예요”를 쓰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