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비 온다는데… 얼만큼이지?"
날씨 앱을 보면 "강수량 3mm", "강수량 10mm"처럼 숫자가 표시되지만,
도대체 이게 어느 정도 비인지 실감이 잘 안 날 때가 많습니다.
비가 내리긴 하는데 우산을 써야 할지, 그냥 지나가도 되는지 헷갈릴 때,
강수량 수치별 체감 기준을 알고 있으면 생활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강수량 체감 수치별 정리
🌧️ 강수량 0.1mm
- 체감: 거의 안 느껴짐. 그냥 습기 정도
- 우산 필요?: 필요 없음
- 설명: 비라고 느끼기 어려운 수준. 차 유리에 닿으면 가볍게 흔적만 남는 정도
🌧️ 강수량 1mm
- 체감: "비가 오나?" 싶을 정도의 가랑비
- 우산 필요?: 짧은 외출이라면 필요 없음
- 설명: 얼굴에 아주 약하게 떨어질 수 있음. 민감한 사람만 체감
🌧️ 강수량 2mm
- 체감: 가벼운 우산이 필요할 수도 있는 정도
- 우산 필요?: 10분 이상 외출 시 필요
- 설명: 노출된 머리카락이나 어깨에 물방울이 맺히기 시작
🌧️ 강수량 3mm
- 체감: 뚜렷한 빗방울. 우산 없으면 젖는다
- 우산 필요?: 외출 시 필수
- 설명: 짧게 걸어도 옷이 젖기 시작함. 지면도 젖어 미끄러울 수 있음
🌧️ 강수량 4mm
- 체감: 눈에 보일 만큼 '비답다'
- 우산 필요?: 반드시 필요
- 설명: 우산 없으면 머리와 어깨 젖음 확실. 차량 운전 시 와이퍼 작동 필요
🌧️ 강수량 5mm
- 체감: 작은 소나기 수준. 우산 없으면 금방 젖음
- 우산 필요?: 필수
- 설명: 10분만 노출돼도 옷 절반 젖을 수 있음. 자전거, 오토바이 운전 주의
🌧️ 강수량 10mm
- 체감: 제대로 '비 온다'고 느껴짐
- 우산 필요?: 당연히 필요
- 설명: 단시간이라도 노출되면 옷 전체 젖고 신발까지 물들어올 수 있음. 도로 물고임 주의
강수량은 '누적 수치'입니다
예: "오늘 강수량 10mm" → 하루 동안 총 10mm의 비가 내렸다는 의미
⚠️ 강수 시간에 따라 체감은 다를 수 있습니다.
- 10mm가 1시간에 집중되면 소나기 느낌
- 10mm가 하루 종일 뿌려진다면 가랑비 느낌
숫자만 보지 말고, 시간·강도·체감까지 고려
강수량 수치는 비의 ‘총량’이지, ‘강도’를 의미하진 않습니다.
짧은 시간에 많은 비 = 소나기처럼 느껴지고
오랜 시간에 조금씩 = 부슬부슬 가랑비 느낌입니다.
다음에 일기예보에서 강수량 수치를 보면,
오늘 하루에 필요한 우산과 외출 준비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겠죠?
반응형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속에 따른 체감 차이 (0) | 2025.04.25 |
---|---|
강수량과 강우량 차이 (0) | 2025.04.23 |
아니에요, 아니예요 맞는 표현은? 헷갈리는 맞춤법 (0) | 2025.04.19 |
폐기물 배출자 교육 주기 (1) | 2025.04.08 |
폐기물처분 부담금 제도란? (0) | 2025.04.07 |
댓글